글리아 특성화
중추신경계(CNS)에서 별아교세포, 미세아교세포, 희소돌기아교세포와 같은 신경교세포는 항상성 유지, 시냅스 형성에 능동적 참여, 신경세포 보호 및 지원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 최근에는 건강과 질병에서 신경교세포의 역할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핵심적으로 대두되었으며, 신경교세포 중심의 관점에서 새로운 연구 도구와 접근법이 개발되고 있습니다. 현재 신경교세포 배양은 기초 및 중개 연구의 중요한 도구로 인정되고 있으며, 특히 원발 세포주 또는 유도만능줄기세포(iPSCs) 사용이 인간 질병 연구에 더욱 적합한 것으로 간주됩니다. 그러나 모델은 주로 최종 형태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신경교세포 연구는 기술적 도구와 중개 모델 개발을 통해 신경교세포의 성장, 형태, 기능, 그리고 궁극적으로 중추신경계 질환에서의 역할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.
추가 정보 요청
피질, 해마 및 소뇌 별아교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2,000세포/웰로 파종했습니다. 증식과 형태를 10일 동안 모니터링했습니다. 이미지는 30-40% 밀집도(피질은 2일, 해마와 소뇌는 4일)의 배양을 보여주며, 가지 모양의 형태학적 표현형을 정량화했습니다(분홍색 및 갈색 마스크). 시간에 따른 프로필은 뇌 영역 간 성장을 비교하고 피질 별아교세포가 가장 빠른 성장률을 가짐을 보여줍니다. 별아교세포의 가지 형성을 시간에 따라 비교한 결과, 소뇌 별아교세포가 96시간에 가장 높은 가지 형성(68.3 ± 1.8)을 보였고, 그 다음으로 해마(50.6 ± 1.5), 피질(12.3 ± 0.7) 순이었습니다. 각 웰의 최대 가지 형성도 표시되었습니다(변동성 그래프). 데이터는 평균 ± 표준오차(24 반복)로 제시되었으며, 이미지는 10배 확대로 캡처되었습니다.
소뇌 별아교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0,000개의 세포/웰로 파종하고, 세포 건강 시약 Incucyte® 아넥신 V NIR (싸토리우스; 0.5%)이 보충된 배지에서 칼슘 이오노포어 이오노마이신(0.01 – 10 µM)으로 처리했습니다. 증식과 세포 건강을 10일 동안 모니터링했습니다. 시간 경과 그래프는 이오노마이신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동역학적 효과를 보여줍니다. 농도-반응 곡선은 이오노마이신이 세포 성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며, 농도 의존적인 밀집도 감소와 세포자멸사 증가가 관찰되어 이오노마이신의 독성 효과를 시사합니다. 대표 이미지는 24시간 후 성장(위상)과 세포 건강(NIR)에 대한 효과를 보여줍니다. 데이터는 평균 ± 표준오차(3회 반복)로 제시되었으며, 이미지는 10배 확대로 캡처되었습니다.
T98G 별아교세포에서 Incucyte® 세포 주기 녹색|주황색 렌티바이러스를 발현하는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4,000개의 세포/웰로 파종했습니다. 세포는 세포 건강 시약 Incucyte® 아넥신 V NIR (0.5%; 싸토리우스)의 존재 하에 단백질 인산분해효소 억제제 OKA (50 – 0.14 nM)로 처리했습니다. 이를 통해 세포 주기 정지와 세포 생존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이미지는 Incucyte® 세포별 분석 모듈을 사용하여 10배율로 획득했으며, 이를 통해 개별 세포를 분할할 수 있었고, 비히클 및 OKA에 대한 대표적인 위상 및/또는 형광(녹색, 주황색, NIR) 위상 비디오를 처리 후 2일 동안 보여주었습니다. 시간 경과 곡선은 비히클 또는 OKA에 대한 S|G2|M (녹색) 또는 G1 (주황색) 세포 집단과 아넥신 V 양성 세포(청록색) 집단을 보여주었으며, OKA (5.56 nM)가 16시간 내에 S|G2|M에서 정지를 유발했고 이는 약 36시간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다가 그 이후 세포 사멸 세포 수가 증가하기 시작했음을 나타냈습니다. 농도-반응 곡선은 20시간에 OKA의 다양한 단계 집단에 대한 빠른 효능과 48시간에 세포 생존력(아넥신 V 양성)에 대한 지연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. 데이터는 평균 ± 표준오차, 6회 반복으로 제시되었습니다.
주요 (대뇌 피질, 해마, 소뇌) 또는 iPSC (CDI, 후지필름) 별아교세포를 Incucyte® ImagelockT96-웰 플레이트에 30,000개의 세포/웰로 파종하고, Incucyte® 상처 메이커로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상처를 만들었습니다. Incucyte® 생세포 분석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했습니다. 위상 비디오는 3일 동안 해마 배양의 상처 후 이동을 보여주며, 초기 상처 부위(파란색 마스크)와 상처 치유 과정(연한 노란색 마스크)의 분절을 보여주고 세포의 형태학적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. 시간 경과 프로필은 서로 다른 뇌 영역의 상처 치유 속도를 비교하며, 소뇌 별아교세포가 가장 빠르게 이동합니다. 약리학적 연구에서는 피질 별아교세포를 상처 내기 전에 이오노마이신(10 – 0.01 µM)과 함께 배양하여 농도 의존적 이동 억제를 관찰했습니다(IC50 = 1.67 µM). 데이터는 평균 ± 표준오차, 24회 반복으로 제시됩니다.
T98G-WT 세포를 PDL(0.1 mg/mL)이 코팅된 싸토리우스 ClearView 96-웰 주화성 플레이트의 상부 챔버에 1,000세포/웰의 밀도로 배양했습니다. 세포가 부착된 후, 주화성 인자로 하부 챔버에 태아 소 혈청(FBS; 10 - 0.12%)을 추가했습니다. 이미지와 해당 마스크는 첨가 후 48시간의 막 상단과 하단을 대표합니다. 48시간의 시간 경과 및 막대 차트는 FBS 수준 증가에 따른 주화성 이동의 농도 의존적 증가를 나타냅니다(EC50 = 3%). 데이터는 평균 ± 표준오차, 10회 반복으로 제시됩니다.
인간 iPSC 유래 신경세포를 단일 또는 별아교세포와 공동 배양했습니다 (신경세포 25K, 별아교세포 10K 세포/웰; Talisman Therapeutics). 신경세포는 신경돌기 발달을 평가하거나 자발적 신경 활동을 시간에 따라 모니터링하기 위해 Incucyte® Neurolight 또는 Neuroburst Orange (싸토리우스)로 감염시켰습니다. 시간 경과 분석 결과, 공동 배양된 세포는 단일 배양된 세포에 비해 더 많은 신경돌기 분지와 성장을 보였습니다 (NL: 228시간 기준 각각 147 ± 2.5 대 72 ± 2.5 mm/mm2). 추적 그래프는 시야 내 모든 활성 객체의 칼슘 변동을 나타냅니다. 막대 그래프는 23일 차 활성 객체, 상관관계(연결성), 버스트 속도 및 지속 시간의 정량화를 보여줍니다. 공동 배양된 세포는 활성 객체가 증가하고 단일 배양된 세포에 비해 더 긴 지속 시간의 칼슘 사건 빈도가 감소하여 네트워크 안정화를 나타내며, 연결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. 결과는 공동 배양에서 iPSC 별아교세포의 지지 기능을 제안하며, 신경세포는 향상된 형태학적 표현형을 보이고 더 기능적으로 성숙한 네트워크를 발달시킵니다. 평균 ± 표준오차, 24회 반복.
제품
수량
카탈로그 번호
인쿠사이트® 화학주성 분석 소프트웨어 모듈
각
9600-001
싸토리우스 인큐사이트® 클리어뷰 96-웰 화학주성 플레이트
4582
싸토리우스 인큐사이트® 스크래치 상처 세포 이동 소프트웨어 모듈
9600-0012
인쿠사이트 스크래치 상처 세포 이동 키트
4493
인쿠사이트 스크래치 상처 세포 침범 액세서리
4444
인쿠사이트® 이미지락 96-웰 플레이트
인쿠사이트® 세포 주기 레드/그린 렌티바이러스 시약
1 바이알 (0.2 mL)
4779
인쿠사이트 세포 주기 그린/오렌지 렌티바이러스 시약
1 바이알 (0.2 mL)1 바이알 (0.2 mL)
4809
싸토리우스 인큐사이트® 세포별 분석 소프트웨어 모듈
1 모듈
9600-0031
견적 요청
세포 이동을 위한 고정밀 96웰 동역학 이미징 분석
종양 세포 이동 및 침윤의 차등 생물학: 96-웰 생세포 동역학 이미징 분석을 통한 생체 기질 측정
실시간 생세포 분석을 활용한 생존 배양에서의 세포 하위 집단 및 이질성 정량화
국가를 선택하여 귀하에게 제공 가능한 제품을 확인하세요.
당사 웹사이트의 콘텐츠는 항상 영어로 제공되며, 일부 다른 언어로도 제공됩니다. 선호하는 언어를 선택하면 해당 언어로 콘텐츠를 표시해 드리겠습니다.